간밤에 뉴욕 증시는 다소 쉬어가는 분위기였습니다. <br /> <br />다우와 S&P500은 하락, 나스닥은 상승하는 혼조 마감이었는데요, <br /> <br />장중 3대 지수가 모두 파란색을 보였지만, <br /> <br />장 막판에 연방준비제도 새 이사에 트럼프의 측근 가운데 한 명으로 꼽히는 스티븐 미란 경제자문위원장을 지명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게 불확실성을 줄여줬습니다. <br /> <br />시장에 영향을 미친 소식 본격적으로 살펴보죠. <br /> <br />역시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핵심입니다. <br /> <br />대혼란 끝에 트럼프의 상호관세가 정말 시작됐는데요, <br /> <br />블룸버그통신은 거의 모든 미국 교역국에 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높은 관세율이 적용됐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평균 관세율은 지난해 2.3%에서 올해 15.2%로 치솟았죠. <br /> <br />트럼프는 이런 정책을 통해 수십억 달러 관세가 들어오고 있다고 자랑하는데요, <br /> <br />글쎄요. <br /> <br />미국 내부에서도 평가는 썩 좋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월스트리트저널은 주요 자동차 기업들이 관세 정책으로 이미 16조 원이 넘는 손실을 봤다고 평가했는데요, <br /> <br />여기에는 당연히 미국의 자동차 기업들도 포함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는 100% 반도체 관세도 발표했는데요, <br /> <br />여기엔 언제나 그랬듯이 부과 시점이라든지, 대상이라든지 구체적인 내용은 빠져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는 미국에 공장을 짓겠다고 약속하는 국가에는 관세를 면제하겠다고 설명했죠. <br /> <br />이게 반도체 기업 주가에는 호재가 됐습니다. <br /> <br />광범위한 관세 면제가 예상되기 때문인데요, <br /> <br />애초에 미국 빅테크가 반도체 주요 고객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100% 관세는 불가능한 일입니다. <br /> <br />당장 미국 기업들부터 곡소리가 날 테니까요. <br /> <br />트럼프 특유의 협상을 위한 협박으로 보는 게 맞을 거 같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는 지금의 진통은 다 단기적인 문제일 뿐이라는 입장인데요, <br /> <br />일단 고통은 슬슬 본격화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경제 지표 몇 가지 살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소비자들이 바라보는 물가 전망인 기대 인플레이션이 장기와 단기 모두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3.1%로 0.1%포인트, 5년은 0.3%포인트 오른 2.9%였는데요, <br /> <br />관세로 물가가 오르게 될 거라는 우려가 커지는 셈입니다. <br /> <br />2분기 단위노동비용은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는데요, <br /> <br />이건 제품 1단위를 생산할 때 직원에 들어가는 비용을 뜻합니다. <br /> <br />관세로 기업의 비용 부담이 커졌다는 뜻이죠. <br /> <br />최근 고용 지표가 쇼크 수준으로 나와 충격이 컸... (중략)<br /><br />YTN 조태현 (chot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50808064325266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